본문 바로가기

각종자료들2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 2탄 *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 관리방안 및 시사점 1.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 1) 전 지구적 분포 여러 자료에 의하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이 분포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용량은 매년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오염의 증가 추세를 보인다. 2) 독성물질 이동과 전이 매개체 미세플라스틱이 해수에 있는 유해물질을 생물체 내부로 운반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플라스틱은 대기 및 수층에 존재하는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을 흡착해 생물체 독성물질 축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플라스틱 미세화로 플라스틱을 섭식하는 해양생물 종류가 증가하여 플라스틱 흡착 또는 오염물질이 생물로 전이된다. 섭식된 플라스틱은 소화기를 막거나 소화기 계통 손상, 포만감 유발을 일으키며 생물이 굶어죽기도 한다. 결국 생물이 미세플라스틱을 먹게 되면.. 2021. 4. 3.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 1탄* 정의와 발생, 오염현황 1. 서론 불과 몇 전까지만 해도 크게 문제 되지 않았던 미세 플라스틱이 해양오염뿐만 아니라 우리의 식탁과 건강까지 위협하는 환경의 문젯거리로 대두되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 등 식음료 전반에 걸쳐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등 인류의 편리한 삶에 일조했던 플라스틱이 환경문제로써 전 세계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어느 한 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천일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또한 세계자연기금은 마구 버려진 플라스틱이 마모되면 그 가루가 물이나 음식을 통해 결국 우리의 몸속에 들어오는데 이렇게 섭취되는 양이 평균적으로 매주 신용카드 한 장 분량이나 된다고 발표했다.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 없지만 유해성 확인을 위해서는 검증이 필요하며, 앞으로의 .. 2021.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