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① 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비고츠키(Vygotsky)는 자기 자신뿐 아니라 모든 아동이 부모와 친구,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운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러한 사회관계 속에서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즉, 그의 인지발달이론에서는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중시한다.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이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함으로써 인지발달의 사회적 기원을 주장하였다.
②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⑴ 근접발달영역
비고츠키는 발달 수준을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즉, 실제적 발달 수준은 아동이 주위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한편 잠재적 발달 수준은 도움을 받아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더 높은 수준을 말한다. 이 두 수준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이 근접발달영역이다. 즉, 근접발달영역은 혼자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지만, 성인의 안내를 받거나 친구와 협동하면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비고츠키는 현재의 발달 수준이 같더라도 근접발달영역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⑵ 비계설정
비고츠키는 아동이 홀로 인지적 조작의 원리를 발견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이 발전은 가족, 교사, 친구 등의 중재나 도움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중재나 도움을 비계설정이라고 명명하였다. 비계설정은 근접발달영역에서 제공되는 더 뛰어난 친구나 성인의 도움을 뜻한다. 효과적인 비계설정은 학습자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것으로 국한해야 한다. 교사와 부모는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실제로 학습하는 주체는 학습자 자신이어야 한다. 또한 학습에서의 비계설정은 초기 단계에서는 많은 도움을 제공하다가 점점 지원을 줄여서 스스로 할 수 있는 단계까지 이끌어 나가야 한다.
⑶ 언어
비고츠키는 비계설정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며 언어는 학습자로 하여금 닫른 사람이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에 접근하도록 해 준다고 하였다. 또한 언어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그는 아동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고츠키는 혼자말의 형태로 나타나는 언어를 사적 언어라고 하였다. 사적 언어는 외부의 사회적 지식을 내부의 개인적 지식으로 바꾸어 주는 기제이며, 자기 자신의 생각을 조절하고 반영하는 수단이다. 사적 언어는 어린 아동에게서 쉽게 발견되며 복잡한 과제일수록,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과제일수록 더 많이 사용된다.
성장하면서 사적 언어는 내적 언어로 변환되어 우리는 더 이상 밖으로 소리 내어 말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사적 언어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인도 밖으로 소리 내어 말하지 않을 뿐 머릿속으로 끊임없이 혼잣말을 한다.
2. 비고츠키 이론의 비판점
비고츠키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첫째, 비고츠키의 이론은 유럽 중심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 당시 러시아인은 유럽의 문화, 특히 프랑스의 문화가 러시아를 비롯한 다른 나라에 비해 우월하다고 평가하고 유럽의 문화를 동경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영향을 받은 비고츠키는 다른 문화에 비해 우월한 문화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였고, 유럽의 문화적 도구와 정신기능이 다른 민족의 문화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비고츠키는 생물적인 인지발달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며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그는 문화적 영향력이 생물적인 인지발달에 미치는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생물적인 인지발달이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인지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셋째, 비고츠키는 아동의 발달이 환경의 산물이므로 개체의 능동적인 발달이 일어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비고츠키는 환경이 발달의 원천이므로 발달의 일차적인 힘이 개인 밖에서 온다고 설명하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면 개인이 발달을 위해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어 보인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인간의 창의성과 개혁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교육학 > 교육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piaget)에 관하여 2탄 * 인지발달이론 단계, 비판점 (0) | 2021.03.31 |
---|---|
피아제(piaget)에 관하여 1탄 * 인물 소개, 인지발달이론 개념 (0) | 2021.03.31 |